포켓 로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
알에서 부화한 포켓몬은 개체치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고, 랜덤한 알 기술 하나가 해금된다.기로치 - 세벗들 중 이 챌린지에서 가장 쓰기 좋은 포켓몬. 준수한 스피드의 고화력 물리 딜러로 써먹으면 된다. 숨특인 테크니션과 알 기술들 모도 물리형에 잘 어울린다는 것도 호재.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케로그를 온라인 웹, 온라인 다운로드, 오프라인 웹, 오프라인 다운로드에서 어떻게 플레이하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분화, 해수스파우팅은 각각 굳이 알 기술 없이도 야생에서 폭타, 탱탱겔을 잡아다 쐐기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타팅으로 가져가는 건 추천하지 않는다.
던지미는 진입 자체가 힘든 도장에서만 등장하는데다 일반 웨이브에선 레어 등급이고, 개굴닌자는 그나마 자주 들리는 호수에서 나오긴 하지만 일반, 보스 웨이브 둘 다 레어 등급이라 이쪽도 자주 등장하는 편이 아니다. 때문에 남는 이로치 꿀모으기, 픽업몬 자리에 대신 이들을 데려갈지, 아니면 야생에서 운좋게 먹는 방법을 택할지는 선택 사항이다.
알 바우처는 일반, 플러스, 프리미엄, 황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게임 클리어나 무한 모드 진행을 통해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 온라인에서 하던 데이터를 오프라인 다운로드판으로 옮겨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단, 오프라인 데이터는 온라인 데이터로 가져올 수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게임이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해 불안함을 표하는 의견이 많다. 포켓몬스터의 각종 공식 게임 리소스가 그대로 사용되는 것에서 알 수 있겠지만, 닌텐도와 게임프리크에 의해 언제든 내려갈 수 있는 게임이라는 구조적 불안정성이 있다.
새로 불러오는 것이 아닌 연속 진행일 때는 나오지 않는 버그이므로, 버그가 걸린 상태라면 필수적으로 다른 포켓몬으로 교체했다가 다시 내보내야 특성이 정상적으로 적용된다.
후반으로 갈수록 체력 상한이 존재하고 그 상한이 까질 때마다 get more info 스탯이 증가하는 포켓몬들이 있다 보니 어지간한 스펙이 아니라면 애를 먹게 된다. 그런 점에서 상대의 랭업 변화를 무시하는 천진은 매우 빛을 발한다.
특성 통찰의 효과가 기존의 보유 아이템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 특성을 알려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등등의 정보들이 항목 별로 나뉘어져 자료를 열람하는 데 상당히 편하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패시브 코롱몬의 복제가 주요 전략인 만큼, 일반 도주런과 달리 토중몬을 데려가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대부분 노말 타입 혹은 풀 타입 벌레 타입 비행 타입 이렇게 나오게 됩니다. 이중에서 풀벌레 의 강한 불꽃 포켓몬이 초반에는 좀 좋을 수 있을 거 같구요. 비행 타입 의 강한 전기 포켓몬 혹은 노말 타입의 강한 격투 포켓몬도 도움이 될 수 있겠죠. 그리고 나서 선택지로는 세군데가 나오는데요. 호수 대도시 풀숲 입니다. 호수 같은 경우는 물 포켓몬이 위주로 나오기 때문에 풀 포켓몬 혹은 전기 포켓몬이 있어야 하고요. 그리고 대도시 같은 경우는 악 포켓몬과 노말 포켓몬 혹은 격투 포켓몬이 나오게 됩니다.